1. 사업 개요
Kpop.To는 K-POP과 K-콘텐츠를 중심으로 음악/영상 크리에이터(①)와 뉴스/기사 저작권(②)을 Web2에서 Web3로 전환시키는 차세대 글로벌 콘텐츠 플랫폼입니다. 플랫폼은 기존 뉴스포털, CMS, 커머스, 소셜 등 다양한 Web2 시스템과 연동하여 사용자가 별도의 진입 장벽 없이 로그인만으로 참여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생태계의 유저 기반을 흡수하면서도, 분산형 구조에서 저작권을 보호하고 스마트컨트랙트 기반 자동 정산이 가능한 새로운 Web3 Creator Economy를 구축합니다. 크리에이터·언론사·일반 사용자가 생산자이자 소비자로 참여하는 분산형 피드 생태계를 지향합니다.
2. 차별성과 혁신 포인트
기존 플랫폼 대비 혁신
- Web2 포털/CMS/커머스/소셜 → Web3 전환
- 로그인 연동만으로 기존 계정·콘텐츠 자동 매칭
- 중앙화 광고/구독 구조에서 벗어나 크리에이터 중심 수익
- 공유될수록 Kei 포인트 축적 → 참여형 인센티브
차별화된 저작권 확보
- 언론사·크리에이터·상점·개인 콘텐츠를 NFT/블록체인에 등록
- 피드 형태로 무료 공유 가능하지만 권리·수익은 자동 추적·정산
- “저작권 관리가 내재된 피드”라는 독창적 포지셔닝
Kei 포인트 기반 공유경제
3. 플랫폼 아키텍처
Web 2.5 → Web 3.0 단계적 전환
Web 2.5 세대
- 뉴스API · 소셜API · 커머스API · 지도API 연동
- 익숙한 UI/UX 기반, PWA·모바일 최적화
- 스마트지갑 탑재, Kei 포인트 발행
- 기존 Web2 로그인 계정으로 참여
Web 3.0 세대
- 모든 콘텐츠 NFT화 → 소유권·사용권·구매권 분산 저장
- DAO 기반 의사결정(구독·후원 구조 팬/독자 중심)
- IP 유동화·DeFi 대출 → 저작권 수익의 금융자산화
주요 기능 구성
- 마이 피드·바이오링크 – 개인 테마형 피드, QR/단축링크, 소셜 위젯, 음악·영상·뉴스·굿즈 통합
- 스마트컨트랙트 자동 정산 – 구독·후원·광고 수익 실시간 배분, 저작권 사용 시 즉시 분배
- 지도 기반 연동 – 생산자/공유자 위치·기업/상점 태그 시각화, O2O 확장
- 퀘스트·캠페인 – 미션 수행 시 Kei 보상, 브랜드·언론사·크리에이터 직접 생성
4. 기술 및 사업 방향성
기술 방향성
- 스마트지갑·멀티체인 연동: Ethereum, Polygon, BNB Chain
- 분산 저장소: IPFS, Arweave → 영구 기록
- DeFi 연계: Kei 포인트 스테이킹·교환·담보 대출
- AI + Web3: 추천·키워드 분석·저작권 모니터링
사업 방향성
- 글로벌 K-콘텐츠 유통 허브 – K-POP/드라마/뷰티/푸드 확산
- 언론사·크리에이터 동시 확보 – 2천여 언론사 CMS 연동 + 마이피드 참여
- 공유경제형 DAO – Kei 기반 거버넌스, 사용자/크리에이터가 의사결정
5. 글로벌 확장 전략
아시아 선점
베트남·일본·동남아 크리에이터 커뮤니티 우선 진출. K-콘텐츠와 로컬 문화 콘텐츠의 결합으로 세계 확장력을 키웁니다.
- Web3 인프라 기업 및 NFT 거래소 제휴
- 글로벌 커머스 연계 및 유통 파트너십
K-Economy 브랜드화
Kei 포인트를 글로벌 표준으로 자리매김(“K-Economy Standard”). K-콘텐츠 소비가 곧 Kei 생태계 확장으로 이어집니다.
6. 결론
Kpop.To는 기존 뉴스포털·CMS·커머스·소셜을 Web3와 연결하는 차세대 게이트웨이이자, 저작권과 수익을 블록체인으로 투명하게 관리하는 글로벌 저작권 인프라, 그리고 Kei 포인트를 통해 누구나 참여·보상받는 공유경제형 Web3 슈퍼앱입니다.
K-콘텐츠 산업을 글로벌 차원에서 분산화·투명화·참여형 경제로 혁신하며, 세계적 Web3 Creator Economy의 표준을 제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