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pop.To · Thech (기술 소개)

Kpop.To 차세대 분산형 콘텐츠/크리에이터 플랫폼:
기술·사업 통합 제안서

React/Node 기반 확장형 메인 위에 뉴스·소셜·커머스·지도 API를 결합하고, 스마트지갑(2.5세대, 코인 전단계)으로 Kei 포인트를 유입·정산하여 Web2 ↔ Web3 브릿지형 공유경제를 구현합니다. 핫아이템(HotItem), 인TVitem, 인프라/방송사/언론사/기업 네트워크, 한국 거주 외국인 인플루언서 100+와의 실제 캠페인 참여로 실사용 중심 생태계를 만듭니다.

목차

0) 한 줄 요약

React/Node 확장형 메인에 뉴스·소셜·커머스·지도 API를 얹고, 스마트지갑(2.5세대)·Kei 포인트로 Web2↔Web3 공유경제를 구현. 핫아이템·인TVitem·방송사/언론사/기업 네트워크와 한국 거주 외국인 인플루언서 100+의 실제 참여로 실사용 중심 확장.

Web2.5 → Web3 브릿지 스마트지갑 & Kei 포인트 API 퍼스트 아키텍처 실사용 캠페인 네트워크

1) 메인 사이트/앱 구성 (확장성 중심)

A. 프런트엔드 (React 우선)

기술 스택
React + Next.js(App Router), TypeScript, Zustand/Redux, React Query, Tailwind

핵심 설계

  • 멀티 테넌트 UI(언론사/브랜드/인플루언서별 테마 적용)
  • 스와이프 메인 홈(뉴스·소셜·이벤트·쇼핑·지도 피드 좌우 전환)
  • 바이오링크 마이피드(QR/단축링크/PWA 설치 버튼)
  • 국제화(i18n): 한국어 기본 + 영어/베트남어/일본어 즉시 전환
  • 오프라인 퍼스트: PWA(Service Worker, IndexedDB 캐시), 저품질 네트워크 대응

B. 백엔드 (Node.js 확장형)

기술 스택
Node.js + NestJS, GraphQL/REST, Prisma, PostgreSQL, Redis, Kafka/NATS, Elastic/OpenSearch, IPFS/Arweave
아키텍처
  • API Gateway — 인증/요금제/레이트리밋/로그 집계
  • 도메인 마이크로서비스 — content-svc, commerce-svc, identity-svc, wallet-svc, analytics-svc, map-svc, rights-svc
  • 배포/운영 — Docker/K8s, GitHub Actions, Canary/Blue-green, Cloud CDN, WAF, IaC(Terraform)

2) 콘텐츠 파이프라인 & API (뉴스/소셜/지도/커머스)

A. 뉴스API (News API)

  • 연동: 국내 2천+ 언론사 RSS/오픈API/제휴 CMS
  • 정규화: 기사 메타, 중복·표절 탐지, 신뢰도 점수
  • 권리정보: 원저작자 DID, 이용권, 정산 Rule ID
  • 주요 엔드포인트: GET /v1/news, POST /v1/news/register, GET /v1/news/rights/:id

B. 소셜API (Social API)

  • 목적: 자체 피드 + 외부 SNS 임베딩/퍼포먼스 집계
  • 기능: 리포스트, 번역·요약(AI), 해시태그 클러스터링, 캠페인 트래킹
  • 엔드포인트: POST /v1/social/post, GET /v1/social/feed, POST /v1/social/share

C. 커머스API (Commerce API)

  • 핫아이템/인플루언서 커머스/인TVitem 연계
  • 기능: 카탈로그, 어필리에이트 링크, 주문/정산, 쿠폰·퀘스트
  • 엔드포인트: GET /v1/commerce/products, POST /v1/commerce/affiliates/link, POST /v1/commerce/order

D. 지도API (Map API)

  • 목적: 기사/콘텐츠/매장/이벤트/부동산 위치 태깅
  • 기능: 히트맵, 지역 랭킹, O2O(예약/방문/쿠폰)
  • 엔드포인트: POST /v1/map/tag, GET /v1/map/nearby

3) 신원·접속(로그인) & Web2→Web3 브릿지

A. 로그인 동선

  • Web2 SSO: 구글·애플·카카오·네이버·트위터·페북 + 언론사/기업 SSO(OIDC/SAML)
  • 계정 통합: 하나의 Kpop.To 계정에 외부 계정·지갑 링크
  • 역할/권한: 기자/매체/크리에이터/브랜드/에이전시/팬

B. 저작권 신원(DID/VC)

  • 오프체인 KYC 결과를 DID/VC로 보관
  • 발행자 지문(워터마킹/오디오·텍스트 핑거프린트) 내장

4) 스마트지갑 & Kei 포인트 (코인 전단계 2.5)

A. 스마트지갑(지갑 UX)

  • 옵션: 커스터디얼(MPC) / 논커스터디얼(메타마스크·월렛커넥트)
  • 지갑 추상화: 로그인만으로 결제/적립/정산
  • 보안: MPC/AA 기반, 한도/2FA/세이프티 디바이스

B. Kei 포인트(오프체인 원장 + 온체인 앵커)

  • 행동 보상: 업로드·공유·구독·댓글·퀘스트·판매기여·오프라인 방문
  • 정산 로직: 스마트컨트랙트 미러를 오프체인 운영, 주기적 온체인 앵커링
  • 전환성: 쿠폰/할인/멤버십, NFT 교환권, 추후 토큰 스왑
  • Pre-tokenomics: 일일 발행 캡/소각, 50/30/20 가변 분배, 캠페인 부스터

C. DeFi 로드맵(코인 발행 이후)

  • ① Kei ↔ 스테이블 포인트 스왑(내부 마켓)
  • ② 저작권 NFT 스테이킹/수익 배분, IP 담보 대출
  • ③ 크로스체인 브릿지 + L2 수수료 최적화

5) 캠페인/퀘스트 & 공유경제 브릿지

A. 인플루언서·브랜드·언론사 연결

  • 핫아이템/인TVitem: 기획전·협찬·라이브 커머스·리뷰 미션 자동
  • 한국 거주 외국인 인플루언서 100+: 다국어 제작·오프라인 체험형 미션
  • 언론사/방송사: 프레스 키트·공식 배너·저작권 규칙 내장 뉴스 바이오링크

B. 수익·정산·추천

  • 추천코드/딥링크 체인 추적 → Kei 분배
  • 실시간 TOP 보드(뉴스/소셜/기업/인플루언서/상점/개인)
  • 조회·체류·공유·전환 가중치 기반 자동 정산

6) 권리·보호·신뢰 (DeIP/DeMedia)

  • 권리 템플릿: 뷰 전용 / 인용·요약 / 상업적 재배포
  • 콘텐츠 지문: 텍스트/이미지/오디오·비디오 워터마킹 + 크롤링 탐지
  • 스마트정산 규칙: 계약서 → 머신리더블 → 컨트랙트/원장
  • 감사가능 로그: 클릭·공유·결제 이벤트 → 온체인 해시

7) 데이터·AI·관제

  • 실시간 스트림: Kafka → Flink/Spark → OpenSearch 대시보드
  • AI 추천: 주제/지역/언어/의도 기반, 중복·스팸 필터
  • 브랜드 세이프티: 민감 토픽/표절 탐지, 광고주 가이드라인
  • 성과 리포트: 캠페인 ROI, 채널 LTV, 지역 전환 히트맵

8) 파트너 통합 & SDK

  • Partner Console: 매체/브랜드/에이전시 대시보드(피드/캠페인/정산/권리)
  • SDK/위젯: @kpopto/embed-news, @kpopto/bio-link, @kpopto/wallet-js
  • Webhook: 주문/공유/구독/정산 이벤트 콜백(ERP/CRM 연계)

9) 보안·준법·운영

  • 보안: OAuth/OIDC, JWT·mTLS, KMS/HSM, 지갑 정책(한도/2FA)
  • 개인정보/준법: GDPR/CCPA/한국법, 광고·표시·저작권 준수
  • 결제/환불: 스테이블 결제(향후), 오프체인 분쟁조정, 회계 리포트
  • SLA/모니터링: 99.9% 가용성 목표, SLO 경보, 장애 리포트

10) 단계별 론치 로드맵 (요약)

MVP (0~3개월)

  • 메인 스와이프 홈 + 뉴스/소셜 통합 피드
  • Web2 로그인 + 커스터디얼 스마트지갑(Kei 적립)
  • 핫아이템 카탈로그 임베드, 기본 캠페인/퀘스트

Beta (4~6개월)

  • 언론사·브랜드 온보딩 콘솔, 추천/분석 대시보드
  • 한국 거주 외국인 인플루언서 100+ 캠페인 가동
  • 오프체인 정산 → 온체인 앵커링 시작

GA (7~12개월)

  • NFT 민팅 옵션(권리 템플릿), 정산 자동화 고도화
  • 인TVitem/라이브 커머스 연계, 지역 O2O 확장
  • Kei–스테이블 포인트 내부 스왑(사전 DeFi)

11) 비즈니스 모델

  • B2B: 매체·브랜드 월 구독(콘솔/리포트/SDK), API 콜 요금, 캠페인 운영수수료
  • B2C: 프리미엄 구독(광고제거/고급 리포트/얼리 액세스), 굿즈·티켓 수수료
  • 정산 수수료: 저작권/광고/후원·구독 자동 정산(투명 공개)
  • Kei 이코노미: 스폰서 부스팅, 포인트 소각형 이벤트

12) 핵심 차별점 (Why Kpop.To)

  • 실사용 브릿지: Web2 로그인 그대로 → Web3 혜택(지갑·정산·권리)
  • 실제 네트워크: 핫아이템·인TVitem·방송사/언론사·기업·100+ 외국인 인플루언서
  • 권리·정산 내재화: 기사/영상/음원 권리-정산-캠페인 자동 파이프라인
  • 지도·오프라인 연동: 매장·부동산·이벤트까지 O2O K-콘텐츠 커머스
  • 코인 전단계(2.5): Kei 포인트로 볼륨 확보 → 자연스런 DeFi 이행

13) 예시 스키마/컨트랙트(개념)

// NewsAPI (요약)
type NewsItem = {
  id: string; title: string; body: string; sourceId: string;
  tags: string[]; authorDid?: string; rightsRuleId: string;
  publishedAt: string; geo?: { lat: number; lng: number; poiId?: string };
};

// 정산 규칙
type RightsRule = {
  id: string;
  split: { creator: number; publisher: number; sharer: number }; // 0~1 합계 1.0
  license: 'view'|'quote'|'commercial-redistribute';
  region?: string[]; expiresAt?: string;
};

// Pseudo: Kei 적립 컨트랙트 미러(온체인 앵커용)
event Anchored(bytes32 dayHash, uint256 totalPoints, uint256 ts);

14) 성공 KPI (초기 6~12개월)

  • MAU: 300k → 1M
  • 캠페인 전환율: 2.5% → 5%
  • 참여형 콘텐츠 비중: 30% → 60%
  • 언론사/브랜드 파트너: 50 → 200
  • Kei 적립·사용 순환율: 40% → 70%

결론

Kpop.To는 React/Node 기반의 고확장 메인과 스마트지갑·Kei 포인트를 축으로, 핫아이템·인TVitem·언론사·기업·인플루언서를 단일 파이프라인에 연결하는 실사용형 Web2.5 → Web3 브릿지입니다. 저작권·정산·공유·커머스가 한 체인에서 자동화되고, 한국 거주 외국인 인플루언서 100+의 다국어 파급력으로 글로벌 시장 침투를 가속합니다. 코인 전단계에서도 즉시 가치 창출이 가능하며, 규제·UX 친화적으로 DeFi/토크노믹스 단계로 확장됩니다.

© Kpop.To — Technology Overview